
1982년 이전에는 500원이 동전이 아닌 지폐였고 이순신 장군님이 그려져 있었습니다. 1982년 500원 동전이 사용되기 시작되면서 이순신 장군님은 100원 주화에 학은 500원에 새겨지게 되었다고 하네요. 주화의 액면가와 중요도가 반드시 비례하는 건 아니지만 그럼에도 상식적인 수준에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존경받는 이순신장군님보다 학이 5배나 비싼 동전에 채택이 되었을까? 이런 궁금증으로 500원 동전과 학에 대한 뒷 이야기와 재미있는 내용들을 간단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1. 500원 동전에 등장하는 학? or 두루미? 의 의미 우선 500원 동전 속에 등장하는 새가 학인지 두루미인지를 두고 논쟁이 벌어지기고 하는데요, 사실은 둘 다 같은 두루미라고 합니다. 순우리말로는 '두루미'이고 한자어로 '학이니..

박성현 님이 지은 [평생 현금이 마르지 않는 투자법]을 오늘까지 3번 읽었습니다. 환투자에 대한 책을 찾다가 이 책도 함께 읽게 되었는데 최근에 읽은 재테크 책 중에서 가장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책이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책의 제목처럼 늘 수익을 만들어 내는 "평생 현금이 마르지 않는 투자법"에 대해서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한 우물만 파면 한 우물만 갖게 된다. 대부분의 재테크 전문가들은 초보 투자자에게 여기저기 기웃거리지 말고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디깅러가 될 때까지 한 우물을 파라고 조언합니다. 하지만 저자는 세상에 완벽한 노동 소득도 완벽한 자본 소득도 없고 때로는 물이 한 방울 나오지 않는 우물도 있기 때문에 돈이 나오는 우물을 다양화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투자는 홀..

NFT 시장이 최근에 큰 폭으로 성장하며 NFT작품 가격이 암호화폐보다 높게 거래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NFT 전체 거래 대금도 역시 최근 1년 사이 20배 이상 증가하고 NFT가 미술 콘텐츠부터 음악,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까지 확대되면서 디지털 자산에 대한 가치가 더 높아지고 있습니다. 여전히 블루오션이라고 하는 NFT시장을 활용해서 돈 버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1. NFT가 무엇인가? NFT는 'Non-Fungible Tokens'의 약어로 영어로 '위조할 수 없는 증표'로 직역할 수 있겠습니다. 정확하게는 디지털 자산, 디지털 콘텐츠 및 소규모 비즈니스 분야에서 이용하는 새로운 기술로, 불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자산입니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NFT 거래는 거래 ..

우리나라 지폐에 이순신 장군님이나 세종대왕과 같이 한국을 빛낸 위인들이 새겨져 있듯 달러에도 미국역사, 정치, 사회에 다양한 공헌을 남긴 위인들이 등장합니다. 1 달러 지폐의 조지 워싱턴부터 100달러 지폐의 벤자민 플랭클린 까지 총 7명의 위인들에 대해서 알아보고 달러와 더 친해지도록 해요! 100달러와 제일 친해지고 싶네요. ^^ 1. 조지 워싱턴 George Washington ($ 1 Bill) 미국의 초대 대통령으로 미국 형성기에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입니다. 미국 독립 전쟁 당시 대륙 군의 총사령관으로 뛰어난 전략으로 군대를 이끌어 승리를 이끌며 대통령이 되었습니다. '미국의 아버지'라도도 불리는데 그 이유는 주요 전장에서 워싱턴이 직접 서서 군사들을 이끌었고, 미국의 독립전쟁과 국가 창설과정..